본문 바로가기

이전 포스팅/SK News_Govall

통계청) 2017년 생명표 작성결과

728x90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김진입니다.

2017년 생명표 작성 결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일러두기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명표는 2017년 한 해 동안 시·구청 및 읍·면·동사무소에 접수된 사망신고를 기초로 작성되었으며,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그대로 유지된 경우 향후 몇 세까지 생존할 수 있을지를 추정한 결과입니다.

특정 연령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기대여명'이라 말하며, 출생아의 기대여명을 '기대수명'이라 말합니다.

1페이지, 요약입니다.

2017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녀 전체 82.7년으로 전년대비 0.3년 증가했습니다.

남자의 기대수명은 79.7년, 여자는 85.7년으로 전년대비 남자는 0.4년, 여자는 0.3년 증가했습니다.

여자의 기대수명은 남자보다 6.0년 더 길었습니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1970년 7.1세에서 1985년 8.6세까지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17년 60세인 남자는 향후 22.8년, 여자는 27.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10년 전 대비 60세 남자의 기대수명은 2.8년, 여자는 2.7년 더 늘었습니다.

2017년 출생아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는 59.6%, 여아는 79.6%입니다. 10년 전 대비 남자의 80세까지 생존확률은 14.0%p, 여자는 10.5%p 증가했습니다.

우리나라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OECD 평균보다 여자는 2.4년 이상, 남자는 1.7년 이상 높았습니다.

암이 제거된다면 2017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3.8년 증가하고, 심장 질환이 제거된다면 1.4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의 사망원인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2017년 출생아가 향후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21.1%, 심장 질환 사망확률은 12.0%, 뇌혈관 질환 사망확률은 8.3%, 폐렴 사망확률은 8.9%입니다.

10년 전인 2007년도에 비해 폐렴의 사망확률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뇌혈관 질환의 사망확률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등 3대 사인이 제거된다면 2017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6.8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7년 출생아의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 경기 순으로 높고, 충북과 경남 순으로 낮았습니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제주가 가장 크고, 대전이 가장 작았습니다.

2페이지와 3페이지는 2017년 생명표의 주요 특성을 시각화한 자료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페이지, 기대수명입니다.

2017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자 79.7년, 여자 85.7년으로 전년보다 각각 0.4년과 0.3년 증가했습니다.

여자의 기대수명은 남자보다 6.0년 더 길었으며, 기대수명의 남녀 간 차이는 1985년 8.6년까지 격차가 발생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올해는 전년에 비해 남녀 간 격차가 0.1년 감소했습니다.

5페이지, 성·연령별 기대여명입니다.

2017년 40세 남자는 향후 40.7년, 40세 여자는 향후 46.5년 더 생존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60세인 남자의 기대여명은 향후 22.8년, 여자는 27.4년이었습니다.

남녀 모두 9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에서 기대여명이 증가하였습니다.

6페이지, 특정 연령까지의 생존확률입니다.

2017년 출생아가 6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아가 87.7%, 여아는 94.9%였습니다.

남아가 6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1970년 47.7%, 1997년 72.0%였으며, 2017년도에는 87.7%까지 높아졌습니다.

2017년 출생한 남아가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1970년 11.6%였으나, 2017년도에는 59.6%로 5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여아의 80세까지 생존 확률도 1970년 32.9%에서 현재는 79.6%로 약 2.4배 높아졌습니다.

다음 7페이지, 특정 연령에서 80세까지의 생존확률입니다.

2017년 현재 20세가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는 59.9%, 여자는 79.9%입니다.

또한, 65세가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가 67.9%, 여자는 83.9%입니다.

다음 8페이지, 특정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확률입니다.

현재의 사망원인에 따른 사망수준이 유지된다면 2017년 출생아가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남자 27.1%, 여자 16.2%입니다.

심장 질환의 사망확률은 남자 10.2%, 여자 13.4%입니다.

뇌혈관 질환의 사망확률은 남자가 7.6%, 여자가 8.8%입니다.

10년 전에 비해 남녀 모두 폐렴에 의한 사망확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반면,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확률은 감소했습니다.

10페이지, 성·연령별 특정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확률입니다.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심장 질환과 폐렴의 사망확률이 높아졌습니다. 80세 여자는 향후 심장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11페이지, 특정 사망원인이 제거되었을 경우 기대수명입니다.

암이 제거된다면 2017년 남아의 수명은 79.7년에서 4.8년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아의 수명은 85.7년에서 2.8년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12페이지, 시도별 기대수명입니다.

2017년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과 경기 순으로 높고, 충북과 경남 순으로 낮았습니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제주가 가장 크고 대전이 가장 작았습니다.

2014년 대비 기대수명 증가폭이 큰 시도는 세종과 울산 순이었습니다.

14페이지, OECD 국가와의 기대수명 비교입니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OECD 평균보다 남자는 1.7년, 여자는 2.4년 더 높았습니다.

남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로 한국보다 2.0년 높았습니다. 여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으로 한국보다 1.4년 높았습니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OECD 평균에 도달한 시점은 남자 2006년, 여자는 2003년이었습니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6.0년으로 OECD 평균 5.4년보다 0.6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페이지, OECD 국가와의 고령층 기대여명 비교입니다.

2017년 우리나라 65세 기대여명은 남자 18.6년, 여자 22.7년으로 OECD 평균보다 남자는 0.7년, 여자는 1.4년 더 높았습니다.

한국인의 65세 기대여명이 OECD 평균보다 높아진 시점은 여자는 2007년, 남자는 2014년이었습니다.

이상 2017년 생명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OECD와 비교를 해보면 여성 출생아 기대수명은 OECD 3위 정도로 장수하는데 남성은 한 15위 정도 되더라고요. 특별한 배경 같은 게 있는지.

<답변> 보통 OECD 결과표를 보시면, 비교표가... 15페이지에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만 여자가 더 기대수명이 높다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보면 여자의 기대수명이 조금 더 높은 편이고요. OECD 평균도 여자 같은 경우에는 83.3세인데 남자는 77.9세로 전반적으로 여자의 기대수명이 더 높습니다. 그거는 어떤 의학적인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그 이유까지는 제가 상세히 설명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고요.

<질문> 그런데 여성은 OECD 3위 수준으로 우리나라가 장수하고 있고.

<답변> 여성의 순위가? 네.

<질문> 남성의 순위를 보니 15위...

<답변> 예, 그렇습니다.

<질문> 그러니까 상대적으로 덜... 수명이 짧은 거잖아요. 그래서 그것과 관련해서는.

<답변> 너무 의학적인 부분이라서 설명드리기가 그런데, 아무래도 저희 사망원인이나 이런 부분을 보더라도 여성분들이 남성분보다 사망확률이 더 낮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 원인은, 세부적인 원인은 여러 가지 남성분들은 아무래도 경제활동을 조금 더 많이 하시다 보니까 그런 스트레스랄지 여러 가지 원인에 노출이 더 많이 돼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우리나라가 좀 여성 부분이 더 OECD 순위가 높은 편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세부적인 원인은 제가 말씀드리기는 조금 그런 것 같습니다.

<질문> 사망원인에 폐렴이요. 10년 전에 비해서 엄청나게 많이 급격히 높아진 것 같은데, 작년에 비해서도 높아졌고요. 이것 왜 그런 것으로 보시는지 혹시?

<답변> 사망... 폐렴 같은 경우에는 지금 계속 10년 전 대비에 비해서도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 그것은 우리나라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나서 고령화가 돼 있는 원인이라고 봅니다. 폐렴이 저희가 보기에는 노인성 질환으로 지금 보고 있거든요. 고연령층에서 많이 사망하시기 때문에. 그래서 노인성 질환이기 때문에 점점 기대수명이 늘어나서 더 오래 사심에 의해서 폐렴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질문> 관련돼서 추가 질문드리고 싶은데요. 폐렴이 지금 3대 질환이라고 불리는 암이나 심장, 뇌혈관 질환을 지금 처음으로 2017년도에 앞선 것으로 지금 표에 나와 있는데.

<답변> 네, 그렇습니다.

<질문> 여성의 경우에는 아직은 퍼센티지가 뇌혈관 질환보다는 조금 낮게 나와 있는데 남성은 지금 많이 조금 더 앞서 있는 건데 이게 지금 이 사망확률, 오른쪽에 나와 있는 그림 6번은 남녀 합친 것으로 보이는데, 이게 남자나 여자나 폐렴이 3대 질환을 앞선 게 이번이 처음인 건가요? 어떻게 되는 거죠?

<답변> 남자의 경우 폐렴이 뇌혈관 질환을 앞선 것이 작년도 2016년부터 이미 폐렴이 뇌혈관 질환보다 더 앞선 3위 순위가 됐고요. 그다음에 여자 같은 경우에는 아직은 폐렴이 뇌혈관보다 더 높지는 않습니다. 남녀 전체를 합쳤을 때에는 폐렴이 올해 2017년도에 사망확률이 뇌혈관보다 더 앞서기는 했지만 여자의 경우에는 아직은 뇌혈관 질환 사망확률이 더 높습니다.

<질문> 그러니까 합쳐서만 올해 처음으로 앞지른 것이라는 말씀이시죠?

<답변> 네, 남녀 전체에 대해서 사망확률이, 폐렴이 사망확률이 뇌혈관 사망확률을 앞선 것이 올해가 처음입니다.

<질문> ***

<답변> 네, 그렇습니다.

<질문> 10페이지 보면 40세보다 80세가 3대 사인 비율이 높은데요. 그 이유는 혹시 어떻게 되는 건지요?

<답변> 질문 다시 한번.

<질문> 3대 질환 비중을 보면 그 3대 질환으로 사망했을 확률보다 나머지 사인으로 죽었을 확률이 40세보다 80세가 더 높잖아요. 그 이유는 혹시 어떤 건지. 3대 질환 외 다른 사인으로 80세가 40세보다 더 많이 죽는 건가요?

<답변> 3대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남자하고 지금 여자 같은 경우에 남자 40세는 45.4%고 남자 80세는 39.8%고 그것 말씀하시는 건가요?

<질문> 아니, 그게 아니라 나머지 사인으로 보시면...

<답변> 나머지 사인으로 보면?

<질문> 네. 남성 40대는... 40세는 44.9%에서 80세는 47.6%로 늘어나고, 여성은 52.7%에서 55.8%로 나머지 사인이 더 늘어나잖아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질문> 그러면 40세와 80세를 놓고 봤을 때 3대 질환 플러스 폐렴으로 죽는 확률보다 나머지 사인이 고연령층일 때 더 높은 건가요?

<답변> 네, 그렇게 해석하시면 됩니다.

<질문> 그 이유는 혹시 알 수 있을까요?

<답변> 나머지 사인이 뭔지 제가 좀 정확하게 봐야 될 것 같은데... 그것은 제가 끝나고 나머지 사인에 해당이 되는 질환이 어떤 것인지 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질문> 27페이지에 보면 특정 사망원인에 대한 사망확률이 나오는데, 여기에 자살을... 10세 미만의 자살률이 고연령층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답변> 이건 자살 확률... 그러니까 확률인데, 원래 사망 건수로 보면 굉장히... 10세나 20... 0세부터 한 20대까지는 사망 자체가 그렇게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그걸 비중으로 보다 보니까 자살의 비중이 높아서 자살의 사망확률이 높아지는 거고요. 사실상 건수로 보면 자살 같은 경우에는 고연령층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질문> 남녀 차이도 상당히 큰데, 그건 왜 그런 건가요?

<답변> 자살에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큰 것은 아까 뭐 OECD에서 기대수명 여쭤보신 것하고 좀 비슷한 원인일 수 있는데, 뭐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경제적인 원인이나 이런 것들은 아무래도 남자분들이 조금 더 크게 느끼시고 사회생활이나 이런 부분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에 의한 스트레스나 이런 부분들이 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 또한 제가 명확하게 그 이유라고 확실하게 말씀드리기에는 좀 어려움이 있습니다.

<질문> 그런데,

<답변> 네?

<질문> 연령이 많으면 그렇게 이해가 되는데 연령이 10대 이하, 10살 이하에서도 차이가 굉장히 크잖아요? 2배 가까이 나는데요.

<답변> 사실 이것을 원인을 제가 말씀드리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 10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자살 건수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그게 남자하고 여자가 왜 어떤 이유로 더 남자가 자살을 하는지 그 원인에 대해서는 저희 통계 수치로 알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질문> ***

<답변> 이 사망확률을 계산할 때 각 세별로 발생하는 사망 확률을 다 반영을 해서 기대여명을 계산하게 되는데, 40세까지... 원래는 40세 이전에도 사망확률이 존재하는데 40세까지 살아나신 분은, 생존하신 분은 이미 과거에 겪어야 할 사망확률이 다 제거된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과거에 출생아 같은 경우에는 40세까지 어떤 사망확률을 겪어야 하지만, 이미 40세까지 생존하신 분은 그거를 다 이겨내고 생존하신 분들이기 때문에 그 사망확률이 제거됐습니다. 그래서 출생아 수하고 비교하게 되면 더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질문> 12페이지 시도별 기대수명 보면, 대도시가 농어촌지역보다 대체로 좀 높은 편인데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농어촌보다 더 오래 살 확률이 높다.’라고 해석해도 되는지와 더불어, 서울·경기라는 지역의 기대수명이 높은 원인도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사실 지역별로 기대수명을 비교하는 원인이, 기대수명에 영향을 주는 원인이 사회적인 원인, 경제적인 원인과 더불어 보건 수준에 의한 차이 이런 부분들도 반영이 됩니다. 그래서 그러다 보니까 아무래도 대도시 쪽이 조금 더 기대수명이 높은 편에 속하고요. 아무래도 의료시설의 접근 시설, 접근성이랄지 아니면 의료시설에 대한 수준 자체가 좀 차이가 나다 보니까 그런 부분이 반영이 돼서 도시지역이 조금 더 기대수명이 높고, 상대적으로 도지역은 기대수명이 낮은 그런 결과를 보입니다.

<질문> 그런데 아까... 조금 부연해서 드리면, 폐렴 사망원인 증가 원인이 고령인구 증가 때문에 그렇다고 하셨는데요. 10년 전에 비해서도 포인트로 봤을 때 굉장히 배수로 따지면 한 3배 가까이 이렇게 증가했는데, 10년 만에 고령인구가 그렇게 많이 늘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답변> 10년 전에 비해서 사실...

<질문> 이것 증가폭만큼 고령인구가 늘었다고 볼 수 있을지 해서요.

<답변> 10년 전에 비해서 사실 고령인구가 늘어난 건 맞고요. 저희가 고령화... 고령사회,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게 작년... 제가 정확한 수치가 지금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최근에 고령사회로 저희가 진입을 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고령화 사회였고요. 그때까지만 하면 65세 이상의 비중이 7% 정도였는데 지금은 65세 인구의 비중이 14% 정도로 배 정도 지금 늘어났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더 추가적인 질문이 없으시면 이만 브리핑을 마치고 더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플로어에서 더 받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자료제공 :(www.korea.kr)]
반응형